스마트폰 내려놓고 ‘내 마음’ 충전해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정맘 작성일23-04-27 07:32 조회39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디톡스란 몸과 마음에 쌓인 독소를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톡스 식단’은 더부룩한 속을 가라앉히고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정신 역시 디톡스가 필요하다.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갇혀 피폐해진 머릿속을 비울 수 있다.
현대인에게 스마트폰은 필수품이다.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기 직전까지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메신저로 업무 연락을 하고 틈날 때마다 SNS를 둘러본다. 끊임없이 방대한 정보를 소화해야 한다는 강박,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연락에 일일이 대응해야 한다는 부담은 디지털 중독 증상이다. 과연 이대로 괜찮은 것일까. 기자가 직접 디지털기기와 잠시 거리를 두고 마음의 여유를 찾아보는 ‘디지털 디톡스’에 도전하기로 했다.
디지털 디톡스 규칙은 다음과 같다. 일주일 동안 디지털기기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다. 열쇠가 없으면 꺼낼 수 없는 ‘스마트폰 감옥’에 스마트폰을 넣어두고 출근할 때 이외엔 꺼내지 않는다. 인스타그램·트위터·유튜브 등 SNS 애플리케이션(앱)을 지운다. 카카오톡은 주중 업무시간에만 활용하고 이외 시간엔 알람을 꺼둔다. TV 시청은 일절 하지 않고, 전화와 문자는 쓸 수 있다. 대신 종이 메모장을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틈마다 무슨 생각을 하는지, 뭘 하고 있는지 기록한다.
◆1∼2일차=스마트폰 기상 알람을 끄자마자 자연스레 SNS 앱으로 손이 간다. ‘맞다, 디지털 디톡스 첫날이지’라는 생각과 함께 단호히 스마트폰을 뒤집어 놓는다. 괜히 할 일이 없어져 두팔을 머리 위로 뻗어 스트레칭해본다. 쓸데없이 SNS를 뒤적이지 않으니 아침시간에 잠깐의 여유가 생겼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 가운데 77%가 특별한 이유 없이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한다고 한다. 스마트폰이 손에 없을 때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은 35%에 달한다. 숨 쉬듯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
디지털 디톡스 첫 난관은 출근길에서 시작됐다.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못 보니 아무것도 할 게 없다. 멀뚱멀뚱 서서 주변 사람들을 둘러본다. 모두 고개를 아래로 푹 꺾고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모습이 마치 ‘좀비’ 같다. 혹자는 이들을 ‘스몸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스마트폰과 좀비를 합쳐 만든 신조어다. SNS를 보며 시간을 죽이는 것이 일상이었는데, 주머니에 손을 넣고 있으니 출근길이 참으로 길게 느껴진다.
퇴근 후 친구들을 만나려고 강남으로 향했다. “어디야, 도대체!” 지하철을 타고 한참 가고 있는데 성이 잔뜩 난 친구에게 전화가 왔다. 친구들이 메신저로 약속 장소를 바꾼 것도 모른 채 처음 정한 곳으로 홀로 무작정 가고 있었던 것.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으니 오히려 주변 사람들이 먼저 불편함을 토로했다.
◆3∼5일차=꿈 같은 주말. 눈을 뜨자마자 한숨부터 나온다. 원래는 주말에 하루 3∼4시간 기본으로 유튜브를 시청했다. 집 안이 조용하면 숨 막히는 느낌이 들어 TV 역시 하루 종일 틀어놓곤 했다.
‘스마트폰·TV 없는 주말엔 무엇을 하며 시간을 보내야 할까.’ 막막한 마음에 우선 계획부터 세운다. 이전엔 시간이 흘러가는 대로 흥청망청 주말을 보냈다면 디지털기기가 없는 주말은 철저한 계획이 필수다.
책을 읽고 일기를 쓰며 아날로그에 초점 맞춘 시간을 보내기로 한다. 한달 동안 깨작깨작 시간을 내면서 3분의 1 정도 겨우 읽은 책을 폈다. 스마트폰 없이 집중해서 보니 한시간 만에 끝까지 읽기에 성공했다. 오랜만에 펜을 잡고 공책에 일기도 써본다. 꾹꾹 눌러 쓰는 일기는 스마트폰으로 쉽게 타자 쳐서 올리는 SNS 글보다 고민 시간이 곱절은 더 필요하다.
4일차 아침. 여느 때보다 가뿐하게 눈이 떠진다. 이전에는 잠들기 직전까지 스마트폰을 보느라 늦잠 자기 일쑤였는데, 스마트폰을 멀리하니 딱 8시간 적정 수면량을 지켰다. 야간 스마트폰 사용은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방해한다. 디지털기기를 멀리하면 수면 질도 덩달아 좋아진다는 뜻.
끝나지 않을 것 같던 디지털 디톡스 기간이 어느새 절반을 넘어섰다. 처음엔 SNS를 못하니 나만 세상 돌아가는 소식에 뒤처진 것 같아 답답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나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찾기 시작했다. 날씨 좋은 날엔 자주 고개를 들어 맑은 하늘을 감상했다.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사색에 빠져보았다. 스마트폰이 있던 자리에 ‘온전한’ 내가 들어섰다.
◆6∼7일차=디지털 디톡스의 마지막은 명상에 도전하며 마무리하기로 했다. 디지털기기와 멀어지니 머릿속에 여유가 생겼지만 아직 무엇으로 채워야 할지 익숙하지 않다. 이럴 땐 ‘명상 프로그램’을 수강하며 전문가 도움을 받으면 좋다. 강원 원주 ‘뮤지엄산 명상관’을 찾았다.
명상관은 미술관 본관을 지나 가장 안쪽에 자리 잡고 있다. 돔 형태의 명상관 안으로 들어서면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도톰한 매트 10여개가 둥글게 펼쳐져 있다. 입구 쪽엔 커다란 스피커가 설치됐다. 이곳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를 가만히 따라가다 보면 명상의 세계에 빠지게 된다.
명상 프로그램은 40분 동안 진행된다. 우선 마음에 드는 자리를 골라 편안한 자세로 앉는다. 눈을 감고 온몸의 긴장을 푼다. 고개를 크게 돌리며 스트레칭하고 향긋한 아로마 오일을 손에 적당량 발라 목 뒤와 어깨에 고루 묻히며 가볍게 마사지해준다. 손이 닿는 곳마다 감각이 깨어난다.
이어서 천장을 보고 자리에 눕는다. 스피커에선 ‘싱잉볼’ 소리가 크게 들려온다. 싱잉볼은 티베트의 전통 악기로 거대한 대접같이 생겼다. 막대기로 싱잉볼을 ‘툭’ 치면 느린 진동 소리가 난다. 머릿속 잡생각을 지우고 그 소리에 집중하다보면 마음을 어지럽히던 근심과 걱정이 사라지는 듯한 기분이 든다. 복잡한 마음이 정리되고 본인의 심장 소리와 침 넘기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제대로 명상을 배운 다음부터는 자주 눈을 감고 내면에 집중했다. 자기 전엔 온몸을 이완하고 긴장을 풀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기보다는 머릿속을 완전히 비우고 휴식을 취하는 쪽을 택했다. 명상이야말로 마음속 노폐물을 제거하는 디톡스 효과를 톡톡히 보여줬다.
우리 일상 깊숙이 침투한 디지털기기를 100% 끊고 살기는 힘들지도 모르겠다. 다만 일주일에 한번, 한달에 한두번쯤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는 것은 어떨까.
원주=서지민 기자. http://naver.me/F0wuZVJj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